728x90 반응형 전체 글400 산업 안전 보건법 경고 표지 알아보기 산업 안전 보건법 경고 표지 산업 안전 보건법에서 가장 많은 표시중 하나는 바로 경고 표지 일 것이다. 사용하는 물질의 용기에 대한 경고 표지는 물론 이런 물질을 취급하는 경우 별도의 경고 표지를 부착해야 하기 때문이다. 사업주는 산업재해를 예방하기 위해 안전 보건 표지를 부착해야 한다. 경고 표지는 사업장 안에 존재하는 위험요소에 대한 경고를 알리는 역할을 한다. 경고 표지의 종류 산업 안전 보건법에서 경고 표지는 15가지 종류로 정해져 있다. ① 인화성 물질 경고 사업장에서 일반적으로 인화성 물질을 많이 취급한다. 실험실에서 소독용으로 쓰는 에탄올은 물론, 락카 작업이나 페인트 작업 등도 인화성 물질이다. 따라서 화기의 취급을 주의해야 하는 장소에는 인화성 물질 경고표지를 부착해야 한다. 주로 다수의.. 2020. 7. 18. 산업 안전 보건법 지시 표지 알아보기 산업 안전 보건법 지시 표지 산업 안전 보건 표지에 대한 부착은 사업주의 의무 중 하나다. 사업주는 산업재해를 예방하기 위해 안전 보건 표지를 부착해야 한다. 지시 표지는 사업장 안에서 해야 하는 행동에 대해 지시하는 사항을 표시한다. 지시 표지는 말 그대로 행동을 지시하는 표지로 사업장 출입구 또는 보기 쉬운 위치에 부착해야 한다. 지시 표지의 종류 산업 안전 보건법에서 지시 표지는 9가지 종류로 정해져 있다. ① 보안경 착용 사업장에서 그라인더 작업 등 비산물이 튀어 눈에 들어갈 수 있는 경우 보안경을 착용해야 한다. 따라서 이 작업장은 보안경을 착용해야만 들어갈 수 있도록 해야 하며, 그렇다 보니 작업장 입구에는 보안경 착용에 대한 안전 보건 표지를 부착한다. ② 방독 마스크 착용 물리적인 위험보단.. 2020. 7. 17. 산업 안전 보건법 안내 표지 알아보기 산업 안전 보건법 안내 표지 사업주는 산업재해를 예방하기 위해 안전 보건 표지를 부착해야 한다. 안내 표지는 사업장 안에 있는 각종 시설 또는 물품의 위치를 안내해 주는 역할을 한다. 산업 안전 보건법의 적용을 받는 사업장의 경우 대상이 되는 경우 표지를 부착하여야 하며, 부착하지 않은 경우 과태료 대상이 되므로 누락 여부를 필히 확인해야 한다. 안내 표지의 종류 산업 안전 보건법에서 안내 표지는 8가지 종류로 정해져 있다. ① 녹십자 표지 녹십자 표지는 근로자 등이 많이 볼 수 있는 장소에 부착하도록 하고 있다. 녹십자 표지는 안전 의식을 북돋우기 위해 필요한 장소로 정하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공사 현장에서 아침 조회를 하거나, 교육장 내부에 부착하고 있다. 안전 의식을 목적으로 부착하도록 하고 있으나.. 2020. 7. 16. 산업 안전 보건법 금지 표지 알아보기 산업 안전 보건법 금지 표지 사업주는 사업장에서의 산업재해를 방지하기 위해 안전 보건 표지를 부착해야 한다. 사고 및 재해가 발생할 수 있을 경우 사업장 내에서는 금지되는 행위가 존재하는데, 이 경우 법에서 정하는 금지 표지를 부착해야 한다. 금지표지의 종류 산업 안전 보건법에서 금지 표지는 8가지 종류로 정해져 있다. ① 출입 금지 사업장에 위험한 인자가 존재할 경우 작업에 허가된 근로자 이 외의 인원에 대한 출입을 통제해야 하는 경우 부착하는 표지이다. 주로 시설 등을 조립 또는 해체하는 작업장의 입구에 부착해야 한다. 또한, 산업 안전 보건법에서 정하는 허가 대상 유해 물질, 석면, 금지 유해 물질 등을 제조, 취급하는 사업장의 경우에도 출입구 등에 부착하도록 정하고 있다. 취급하는 작업 장소가 실.. 2020. 7. 15. 산업 안전 보건 표지 산업 안전 보건 표지 안전을 위해 각자의 사업장에서 가장 눈에 띄어야 하는 것은 바로 산업 안전 보건 표지다. 안전 보건 표지는 사업장 내부에 어떤 위험이 숨어 있는지 그렇기 때문에 어떤 조치를 해야 하는지에 대해 바로 쉽게 알려준다. 따라서 누구든 알기 쉽게 이해할 수 있는 표지를 부착해야 하며, 그렇다 보니 산업 안전 보건법에서는 안전 보건 표지의 종류와 색상 등 법으로 정해 놓았다. 산업 안전 보건법 제37조(안전 보건 표지의 설치·부착) 산업 안전 보건법에 따라 사업주는 안전 보건 표지를 부착해야 하며, 사업장에 외국인 근로자가 있는 경우 해당 외국인의 모국어로도 작성해서 부착해야 한다. 2020년 산업 안전 보건법이 개정되기 전 권고 사항에 지나지 않았던 외국인 근로자에 대한 안전 보건 표지가 .. 2020. 7. 14. 물질 안전 보건 자료 교육 실시 시기 물질 안전 보건 자료 교육 산업 안전 보건법에서는 물질 안전 보건 자료 대상 물질을 취급하는 경우 물질 안전 보건 자료에 대한 교육을 실시해야 한다. 요즘 담당자들은 물질 안전 보건 자료에 대해 교육의 필요성을 느끼고 실시하고 있다. 하지만 이 교육도 실시 시기가 있다. 따라서 적절히 실시하지 않은 경우 과태료 대상이 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교육 실시 시기 물질 안전 보건 자료를 취급하는 근로자를 대상으로 적절한 시기에 교육을 실시해야 한다. 물질 안전 보건 자료 교육 실시 시기는 다음과 같다. ① 대상 물질을 취급하는 신규 채용 인원 발생 시 물질 안전 보건 자료 대상 물질을 제조, 사용, 운반 또는 저장하는 작업에 신규 채용자를 채용한 경우 작업에 투입되기 전에 실시해야 한다. 즉, 산업 안.. 2020. 7. 10. 물질 안전 보건 자료 교육 일지 보존 기간 물질 안전 보건 자료 교육 일지 보존 기간 산업 안전 보건법에서는 물질 안전 보건 자료 대상 물질을 취급하는 모든 근로자를 대상으로 물질 안전 보건 자료에 대한 교육을 실시하도록 정하고 있다. 물론 교육 시간은 정해져 있지 않지만 다른 교육과 마찬가지로 교육 내용이 정해져 있으며, 교육 또한 강사로서의 자격을 갖춘 인원(안전 관리자, 보건 관리자, 관리 감독자 등)이 해야 한다. 법에서는 해당 물질을 취급하기 전 물질 안전 보건 자료 교육을 실시하도록 정해 놓았으나 교육을 실시하고 얼마만큼 일지를 보관해야 하는지에 대해서는 명시하지 않았다. 그래서 사람들은 주관에 따라 보관 연한이 3년, 5년 또는 영구보관 등 제각각으로 정리하고 있다. 하지만 이에도 기준이 있다. 질서 위반 행위 규제법 질서 위반 행위.. 2020. 7. 9. 물질 안전 보건 자료 교육방법, 교육내용 알아보기 물질 안전 보건 자료(MSDS) 교육 사업장에서는 각종 물질을 다룬다. 하지만 그 물질이 어떤 특성을 가지고, 어떤 영향력을 끼치는지에 대해서 물질 안전 보건 자료를 안 보면 알 방법이 없다. 하지만 본인의 업무에만 충실해도 시간이 부족한데, 물질 안전 보건 자료를 뒤적이며 확인할 사람은 얼마 되지 않을 것이다. 그래서 산업 안전 보건법에서는 물질 안전 보건 자료 대상 물질을 취급하는 근로자를 대상으로 물질 안전 보건 자료에 대한 교육을 실시하도록 정해 놓았다. 물질 안전 보건 자료는 해당 물질을 취급하기 전 교육을 실시해야 한다. 별도의 교육 시간은 정해져 있지 않지만 최초로 교육 후 정기적으로 교육을 실시하기를 권고하고 있다. 물질을 몇 종류 사용하지 않는 경우 1~ 2시간 정도면 충분하지만, 물질의.. 2020. 7. 8. MSDS 작업 공정별 관리 요령 MSDS 공정별 관리 요령 산업 안전 보건법 제114조에 따라 물질 안전 보건 자료 대상 물질을 취급하는 경우 공정별 관리 요령을 게시해야 하도록 정하고 있다. 작업 공정별 관리요령은 대상 물질의 유해성 및 위험성이 유사한 물질끼리 그룹지어 작성할 수 있으며, 산업안전보건법에서 정하는 유해성 및 위험성 분류는 29종으로 구분됩니다. 따라서 29종에 대한 공정별 관리요령을 게시하면 법에서 정한 공정별 관리요령 게시로 인정받을 수 있다는 말이 되는데, 29종에 대한 공정별 관리요령 자료는 다음 링크에서 확인하기 바랍니다. 작업 공정별 관리 요령 유해성 위험성에 따른 분류 자료 공유(29종) 산업안전보건법 제114조(물질안전보건자료의 게시 및 교육)에 따라 물질안전보건자료대상물질을 취급하는 경우 취급하는 작업.. 2020. 7. 7. MSDS 경고 표지 MSDS 경고 표지 사업장에서 쓰는 모든 물질에는 물질 안전 보건 자료가 게시되어야 한다. 그와 동시에 이 물질을 보관하고 있는 용기 또는 포장에는 경고 표지가 부착되어야 한다. 고용 노동부의 근로 감독관이나 산업 안전 보건 공단 점검이 오는 경우 가장 간단하면서도 확실한 실적으로 MSDS 비치나 경고 표지 부착 여부를 확인한다. 부착되어 있지 않거나, 부착이 잘 못 되어 있는 경우 건당 과태료를 물기 때문에 사업장 담당자의 경우 별거 아닌 것 같은데도 곤욕을 치르곤 한다. 왜냐하면 사업주의 입장에서는 종이 몇 개 없다고 과태료를 내야 하는데, 그것을 관리하는 사람은 기본적인 것도 관리하지 않는 사람처럼 보이기 때문이다. 물론 담당해본 사람들은 알겠지만, 100% 완벽하게 관리하기란 정말 어렵다. 근로자.. 2020. 7. 4. 이전 1 ··· 30 31 32 33 34 35 36 ··· 40 다음 more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