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Safety Engineering/연구실안전18

연구실 안전 관리 위원회 방법 연구실 안전 관리 위원회 연구실 안전 환경 조성에 관한 법률 제6조에 따라 연구주체의 장은 연구실 안전 관리 위원회를 개최할 수 있다. 법에서 강제하는 사항은 아니나 2020년 연구실 안전법이 개정되면서 강제 조항으로 바뀔 예정이다. 연구실 안전 관리 위원회는 연구실 안전환경과 관련된 주요 사항을 협의하기 위해 위원회를 만들어 회의하도록 하는 내용이다. 물론 강제 사항은 아니지만 과학 기술 정보 통신부에서는 연구실 안전 관리 위원회를 연간 2회 이상 실시하기를 권고한다고 한다. 연구실 안전관리 위원회 협의사항 및 구성요건 연구실 안전 관리 위원회는 법적인 강제사항은 아니나, 협의 시 할 내용은 법에서 정하고 있다. 법에서 정하는 협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위와 같은 내용의 회의를 해야 하며, 안전 관리 .. 2020. 8. 17.
연구실 안전관리규정 작성하기 연구실 안전관리규정 산업 안전 보건법에 안전 보건 관리 규정이 있다면, 연구실 안전법에는 연구실 안전 관리 규정이 있다. 연구실 안전법의 안전 관리 규정은 연구 주체의 장의 직무 중 하나로 보면 된다. 법에서는 연구 주체의 장이 연구실 안전을 유지 및 관리하기 위해 안전 관리 규정을 작성하여 각 연구실에 게시하고, 연구활동 종사자에게 알리도록 하고 있다. 즉 각 연구실에 연구실 안전 관리 규정을 게시 또는 비치하도록 법에서 강제하고 있다. 산업 안전 보건법에서는 보기 쉬운 위치에 게시하면 되지만, 연구실 안전법에는 각각의 연구실에 게시해야 하니 산업 안전 보건법보다는 조금 강한 조항이다. 연구실 안전관리 규정 내용 연구실 안전법 제6조에 따라 안전관리규정을 작성해야 하며, 규정에는 법에서 정하고 있는 사.. 2020. 8. 16.
연구실 책임자 지정 방법 알아보기 연구실 책임자 연구실 안전환경 조성에 관한 법률(연구실 안전법)에도 다른 법과 마찬가지로 조직을 정하고 있다. 그중 연구실 책임자에 대해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각 연구실에서 과학기술분야 연구개발 활동 및 연구활동 종사자를 직접 지도, 관리, 감독하는 자를 연구실 책임자로 정하고 있으며, 연구실 책임자는 연구주체의 장이 지정하도록 정하고 있다. 연구실 책임자는 말 그대로 해당 연구실을 책임지는 위치에 있으며, 산업 안전 보건법에 따르면 관리감독자와 비슷하게 보면 된다. 관리감독자와 다르게 일부 업무를 대상으로 하고 있으며, 본인이 근무하는 사업장의 경우 연구실 책임자에 관리감독자를 겸임해서 같이 업무를 수행하도록 하고 있다. 기업 부설 연구소의 경우 산업 안전 보건법도 동시에 충족시켜야 하기 때문에 어쩔.. 2020. 8. 15.
2020년 연구실 안전법 전면 개정 2020년 연구실 안전법 전면 개정 연구실 안전법이 전면 개정된다. 2005년 법이 시행된 지 벌써 15년이 흘렀다. K대학 풍동실험실 폭발 사고로 인해 만들어진 연구실 안전 환경 조성에 관한 법률(연구실 안전법)은 사고 발생으로 피해를 입은 연구 활동 종사자의 보상을 위해 만들어졌다. 법의 적용을 받게 된 대학생 및 대학원생 등 학생 연구원은 연구실 사고가 발생할 경우 보상을 받을 수 있게 된 것이다. 그렇게 시간이 지났다. 우리나라의 R&D 예산은 날로 늘어가고, 그에 따라 필요한 인력도 늘었다. 결국 연구실 사고 건수는 계속 증가 추세다. 연구실 사고 재해율로 따지면 오히려 줄고 있을지도 모르지만, 우선 연구활동 종사자의 수가 늘어남에 따라 사고도 많이 발생한 것으로 보인다. 연구실 안전법은 보상을.. 2020. 8. 13.
연구실 안전법 저위험 연구실 대상과 혜택 알아보기 연구실 안전법 – 저위험 연구실 2020년 1월 14일 연구실 안전 환경 조성에 관한 법률 시행령의 개정이 있었다. 주요 개정 내용은 저위험 연구실에 관한 사항으로, 저위험 연구실로 판단되는 경우 매일 연구 개발 활동을 수행하기 전 시행해야 하는 일상점검을 주 1회 이상 실시하는 경우 인정해 주고, 정기점검의 실시 의무를 면제한다는 내용이다. 매일 연구 개발 활동을 수행하기 전 해야 하는 일상 점검을 일주일에 한 번만 실시해도 인정해 주는 내용은 연구실 안전 관리 담당자와 연구실 책임자의 입장에서는 굉장히 솔깃할 수밖에 없다. 또한 연구실을 총괄적으로 관리하는 연구주체의 장이나 연구실 안전환경관리자에게는 정기 점검을 실시하지 않아도 된다는 사실이 솔깃할 것이다. 정기점검은 일반적으로 외부 전문기관을 통해.. 2020. 8. 10.
2003년 카이스트 풍동실험실 폭발사고 연구실 사고 이야기 - 2003년 카이스트 풍동실험실 폭발사고 2003년 5월 13일 오후 3시경 카이스트 풍동실험실에서 사고가 발생했다. 과산화수소를 물과 산소로 분리시키는 촉매반응 작업을 하는 도중 예혼합 가스 용기의 폭발사고가 발생한 것이다. 이 사고로 인해 한 명은 사망하고, 다른 한 명은 다리를 잃었다. 폭발한 용기는 실험에서는 큰 비중을 차지하지 않은 예혼합 가스 용기라고 했다. 질소 용기에 가연성 가스인 수소 혼합가스가 주입된 용기였다. 그렇게 연구실 사고로 한 명의 생명을 잃었다. 1999년 서울의 유명한 대학에서도 사고가 발생했었다. 플라즈마 실험실에서의 폭발사고다. 그로 인해 3명이 사망했다. 사람이 사고로 인해 세상을 떠났다. 연구실에서 각자의 꿈을 가지고 연구를 진행하던 사람들이었다.. 2020. 8. 4.
실험실/연구실 안전관리 기본수칙 알아보기 연구실 안전 연구실 안전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는 연구 활동 종사자 스스로가 안전에 대해 생각하는 것이다. 연구실 사고를 줄일 수 있는 가장 큰 요인 중 하나도 바로 스스로 위험성을 인지하는 것이며, 연구실에서는 사소한 실수라도 연구실 사고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연구활동 종사자 스스로의 주의가 필요하다. 실험을 주로 하는 연구실은 일반적인 산업 현장과는 다르다. 산업 현장에서는 정해진 설비, 정해진 방법을 통해 어느 정도 예상 가능한 위험이 존재한다. 하지만 연구실에서는 새로운 실험 방법과 융합, 복합적인 실험을 통해 인지하지 못하는 새로운 문제가 항시 생긴다고 봐도 무방하다. 그렇다 보니 연구활동 종사자는 스스로 이에 대한 문제를 인지해야 하고, 가장 쉬운 일부터 할 수 있도록 연구실 안전 .. 2020. 8. 3.
연구실 안전 환경 조성에 관한 법률(연안법) 알아보기 연구실 안전 환경 조성에 관한 법률(연안법) 연구개발(R&D, Research and Development)에 의한 기술적인 진보는 나라의 경제 성장의 원동력이 된다. 따라서 우리나라에도 2020년 한 해 국가 R&D 예산만 24조 원이 넘게 책정되었다. 그만큼 연구개발이 우리나라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연구실 안전 환경 조성에 관한 법률은 약칭으로 연안법으로 불린다. 이 법이 만들어 지기까지 실험실에서는 여러 사고들이 있었다. 그중 법이 생기게 된 가장 큰 이유는 실험실에서 재해가 발생할 경우 피해보상의 기준이 없어 보상을 받지 못한 연구원이 늘어나기 때문이었다. 기업 부설 연구소에서의 연구 개발 활동을 하는 근로자나 기관에서 공무원들이 연구 개발 활동을 하는 도중 사고가 발생했을 경우 각.. 2020. 7. 29.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