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Safety Engineering/산업안전보건154

안전 보건 관리 담당자 개념 및 교육 신청 방법 산업 안전 보건법에서의 안전 보건 관리 담당자 산업 안전 보건법 제19조에서 안전 보건 관리 담당자 선임에 관한 사항이 나와 있다. 선임 대상은 상시 근로자 20인 이상, 50인 미만의 비교적 인원이 적은 사업장에서 선임해야 한다. 법에서는 안전 관리자, 보건 관리자 등에 대한 사항을 정해 놓았으며, 그보다 가벼운 느낌의 직무인 안전 보건 관리 담당자를 정해 놓았다. 사업장의 규모가 작은 경우 선임 대상이라 무게감이 높지는 않으나 자칫 관리를 잘못하다가 문제의 책임 요소가 본인에게 올 수 있으므로 법에 대한 이해가 필요한 직무이다. 안전 보건 관리 담당자 선임 대상 산업 안전 보건법에서 안전 보건 관리 담당자를 선임해야 하는 대상은 다음과 같다. ① 상시 근로자의 수가 20인 이상, 50인 미만인 사업장.. 2020. 6. 10.
안전 보건 관리 담당자 교육 안전 보건 관리 담당자 직무 교육 산업 안전 보건법에서는 안전 관리자, 보건 관리자를 선임할 대상이 아닌 경우에도 몇 가지 업종에 대해 안전과 보건에 관한 업무를 수행할 사람을 선임하도록 만들어 놓았다. 안전 보건 관리 담당자는 말 그대로 안전과 보건 관련 업무를 동시에 수행해야 하는 직무로 선임 대상이다. 안전 관리자, 보건 관리자와 한 가지 다른 것이 있다면, 바로 선임 보고서 제출의 의무가 없다는 것이다. 안전 관리자, 보건 관리자 등 선임하는 경우 고용노동지청에 해당 인원의 선임을 알리는 보고서를 제출해야 한다. 하지만 안전 보건 관리 담당자는 자체적으로 선임했다는 서류만 가지고 있으면 된다. 일반적으로 50인 이상의 사업장에서는 안전 관리자와 보건 관리자를 선임한다. 물론 사업의 규모가 작은 경.. 2020. 6. 9.
안전 보건 관리 책임자 직무 교육 안전 보건 관리 책임자 직무 교육 안전 보건 관리 책임자는 산업안전보건법 조직상 최상위에 존재하는 직책이다. 안전 및 보건에 관한 모든 사항에 대한 책임을 지며, 전반적인 사항에 대해 결정해야 하는 위치이다. 따라서 모든 사항에 대한 서명만 하고 나중에 책임만 지는 것이 아니라 전반적인 안전 관리에 대해 이해하고, 사업장의 안전 및 보건 시스템을 만들어 나가야 하는 매우 중요한 위치다. 안전 보건 관리 책임자란 안전 및 보건 관리에 대한 전반적인 책임을 져야 하는 위치이다 보니 기본적인 개념에 대해서는 숙지해야 한다. 따라서 산업안전보건법에서는 안전 보건 관리 책임자에 대한 직무교육을 만들어 놓았다. 산업안전보건법 제32조(안전보건관리책임자 등에 대한 직무교육)에 안전 보건 관리 책임자에 대한 안전보건교.. 2020. 6. 7.
안전 관리자 직무 교육 안전 관리자 직무 교육 산업안전보건법에서의 안전관리자란 핵심적인 업무를 수행한다. 전반적인 안전 교육 관리는 물론, 위험성 평가, 산업 안전 보건 위원회 등 사업장 내 모든 안전 관련 사항에 업무를 수행한다고 봐도 무방하다. 안전 관리는 100% 완벽해야 본전이라는 말이 있다. 아무리 관리를 잘하고 있어도 사고 한번 발생할 경우 안전관리자가 돈 받고 뭐했냐는 비아냥거리는 이야기를 듣기도 하고, 그에 따라 고용노동부나 안전보건공단에서 나오면 마치 죄인이 된 것처럼 압박을 당하기도 한다. 안전 관리자는 관리 감독자 이상으로 책임이 따르기 때문에 사업장 전반에 대한 안전관리를 위해 직무교육을 만들어 놓았다. 산업안전보건법 제32조(안전보건관리책임자 등에 대한 직무교육)에 안전 관리자에 대한 안전보건교육 이수에.. 2020. 6. 6.
근로자 특별 안전 보건 교육 근로자 특별 안전 보건 교육 특별 안전 보건 교육이라고 하면 무엇인가 특별한 교육처럼 느껴진다. 맞는 이야기다. 산업안전보건법에서는 유해하거나 위험한 작업을 하는 근로자를 대상으로 특별히 중요한 교육을 만들어 놓았다. 사업주는 산업안전보건법 제29조(근로자에 대한 안전보건교육) 제3항에 따라 유해하거나 위험한 작업을 하는 경우 해당 근로자를 대상으로 교육을 실시해야 한다. 이를 특별 안전보건교육, 또는 특별교육이라고 한다. 특별 안전보건교육은 업무의 특성상 위험하기 때문에 산업재해가 발생할 경우 피해가 크다고 인정되는 업무에 대상이 된다. 산업재해가 발생할 경우 피해의 크기도 클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이를 위해 사업주에게 특별교육의 의무를 주었다. 교육시간 특별 안전 보건 교육을 실시해야 하는 것은 역.. 2020. 6. 5.
관리 감독자 교육 방법, 교육 시간, 교육 면제 알아보기 관리 감독자 교육 산업안전보건법은 사업장의 관리감독자에게 정말 많은 숙제를 내준다. 사고가 나거나 사회적인 문제가 발생했을 때 거의 모든 책임은 관리 감독을 제대로 하지 못한 관리감독자의 책임으로 돌아가기 때문이다. 하지만 관리감독자는 근무자의 가장 가까운 위치의 관리자로서 언제든지 발생할 수 있는 아차사고나 산업재해를 예방해야 할 책임이 있는 것은 사실이다. 이를 위해 산업안전보건법에서는 관리감독자의 직무를 만들어 놓았고, 이를 제대로 수행하기 위해 매년 16시간 이상의 정기교육을 받게 해 놓았다. 산업안전보건법 제29조(근로자에 대한 안전보건교육) 제1항에 따라 사업주는 소속 근로자에게 정기교육을 하도록 정하고 있다. 이중 관리감독자는 산업안전보건법 제16조(관리감독자)에서 정하는 사람으로 생산과 관.. 2020. 6. 4.
신규 채용 시 교육 안받아도 되는 면제 대상 알아보기 근로자 채용 시 교육 면제 대상 산업안전보건법 제29조(근로자에 대한 안전보건교육) 제2항에 따라 채용 시 교육은 사업장에 채용된 모든 인원이 대상이다. 하지만 여기서도 면제 대상이 있다. 근로 시간이 매우 중요한 산업현장에서 교육을 덜 받거나 면제되는 경우가 있다면 이런 방법을 이용해서 교육 시간을 줄이는 것도 좋을 것이다. 채용 시 교육 면제 ① 특별 안전보건교육을 실시한 경우 우선 채용 시 교육의 면제 대상은 산업안전보건법 시행규칙 제26조(교육시간 및 교육내용)에서 정하고 있다. 이에 따르면 산업안전보건법 제29조 3항에 따른 특별 안전보건교육을 실시할 경우 채용 시 교육과 작업내용 변경 시 교육을 실시한 것으로 인정해 준다. 채용 시 교육과 작업내용 변경 시 교육은 법에서 정하는 교육 내용이 같.. 2020. 6. 3.
근로자 신규 채용 시 교육 내용과 방법 근로자 채용 시 교육 회사에 입사라는 첫 관문을 넘긴 신규 채용자는 입사 후 업무를 하기 전 교육을 받아야 한다. 회사에서 하는 사업은 무엇이며, 매출액이 얼마고 여러분이 회사의 주인이라는 교육은 신규 직원으로서 받아야 하는 필수적인 내용이다. 하지만 노무를 제공하는 자로 입사한 인원은 당연히 산업재해에 대한 관리의 대상이며, 스스로의 안전을 위해서 업무 시작 전 사전에 교육을 받아야 한다. 그래서 산업안전보건법에서는 신규 채용자에 대한 채용 시 교육을 의무화시켜 놓았다. 산업안전보건법 제29조(근로자에 대한 안전보건교육) 제2항에 따르면 사업주는 건설 일용근로자를 제외한 근로자를 채용할 때 『채용 시 교육』을 실시해야 한다.(건설 일용근로자의 경우 건설업 기초안전보건교육으로 채용 시 교육을 대체한다.).. 2020. 6. 2.
2022년 5대 법정 의무 교육 종류 및 과태료, 교육 교안 다운로드 5대 법정 의무 교육 종류 산업체에서 필수로 받아야 하는 교육은 여러 가지가 있다. 한 번의 교육으로 끝나는 교육이 있는 반면 매년 정기적으로 받아야 하는 교육이 있고, 그러다 보니 누군가가 관심을 가져주지 않으면 그대로 해가 지나게 되어 과태료 대상이 될 수 있으므로 필히 이수하도록 해야 한다. 산업체에서 수행해야 할 의무교육으로는 5가지 종류가 있다. ① 성희롱 예방 교육 ② 퇴직 연금 교육 ③ 개인 정보 보호 교육 ④ 산업 안전 보건 교육 ⑤ 장애인 인식 개선 교육 5대 의무 교육에 대한 법적 대상과 교육 실시 내용 및 교안에 대해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성희롱 예방 교육 퇴직 연금 교육 개인 정보 보호 교육 산업 안전 보건 교육 장애인 인식 개선 교육 성희롱 예방 교육 성희롱 예방 교육은 남녀고용.. 2020. 5. 31.
근로자 정기 안전 보건 교육 면제 와 제외 대상 근로자 정기 안전 보건 교육 산업안전보건법 제29조(근로자에 대한 안전보건교육)에 따라 사업주는 소속 근로자에게 안전 보건 교육을 정기적으로 실시해야 한다. 그리고 근로자가 정기교육을 받지 않은 경우 1차 위반일 경우 1명당 1010만 원의 과태료를 물게 만든다. 분기별 교육을 실시하더라도 정해진 교육시간을 충족하지 못하면 정기교육 미실시가 되어 과태료 대상이 되므로 교육시간을 줄이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근로자 정기 안전 보건 교육 제외 대상 산업안전보건법 제29조에 대해 전체 또는 일부가 면제되는 사업장은 다음과 같다. 근로자 정기 안전 보건 교육 중 안전 교육에 대해 면제되는 사업장은 다음과 같다. ① 『광산 안전법』 적용 사업으로 광업 중 광물의 채광ㆍ채굴ㆍ선광 또는 제련 등의 공정을 하는 경우 .. 2020. 5. 30.
728x90
반응형